티스토리 뷰

반응형

운전기능사 자격증에는 여러 종류가 있습니다. 지게차, 굴삭기, 로더, 농기계 등이 그 예시이며, 오늘 살펴볼 기중기 역시 그중 하나입니다. 기중기는 무거운 물체를 들어 올려 상하 또는 수평으로 이동시키는 장비로, 크게 크레인, 이동식 크레인, 데릭, 양화 장치로 나눌 수 있습니다.

기중기는 건축공사에서는 중량물 운반과 철골 구조물 설치에, 토목공사에서는 교량 구조물 운반에 주로 사용됩니다.

과거에는 이동식 크레인이나 고소작업대 작업을 자격증 없이 누구나 할 수 있었습니다. 그러나 2019년 법 개정 이후, 반드시 자격증을 소지하거나 관련 교육과정을 이수한 사람만 작업을 할 수 있게 되었습니다.

  1. 주요 업무 및 진출 분야
    기중기 작업을 하려면 반드시 기중기운전기능사 자격증을 취득해야 합니다. 자격증만 취득하는 것으로 끝나는 것이 아니라, 적성검사를 통과해 건설기계조종사 면허를 발급받아야 하죠. 자격증이 있어도 면허가 없으면 무면허로 간주되니, 이 점을 반드시 유념해야 합니다.

    기중기운전기능사 시험에는 특별한 응시 자격이 없습니다. 학력, 연령, 경력에 제한이 없어 누구나 도전할 수 있습니다. 특히 건설기계과, 중기과, 중기정비과 등 관련 전공을 공부한 사람이라면 보다 수월하게 준비할 수 있습니다.

    자격증을 취득한 후에는 건설업체, 물류업체, 건설기계정비업체, 부품판매업체 등에서 일할 수 있으며, 해당 분야에서 취업 시 우대받을 가능성이 높습니다.
  2. 시험 진행 절차
    기중기운전기능사 시험은 필기와 실기로 나뉩니다. 필기시험은 [건설기계기관], [전기, 섀시, 기중기 작업장치], [유압 일반], [건설기계 관리법규 및 도로통행 방법], [안전관리] 등 5개 과목으로 구성됩니다. 문제는 혼합되어 출제되며, 총 60문항의 객관식 문제를 60분 동안 풀어야 합니다. 즉, 1분에 1문항 이상을 풀어야 하는 시간 관리가 중요합니다. 난이도는 어렵지 않지만, 시간 제약 때문에 많은 응시자가 어려움을 느낍니다.
  3. 실기시험 진행 방식
    필기시험은 객관식으로 진행되지만, 실기시험은 작업형 평가로 구성됩니다. 평가 항목은 [기중기 운전 작업 및 도로 주행]으로, 기계식과 유압식 모두 시험 범위에 포함됩니다. 기계식 시험 시간은 약 8분, 유압식은 약 6분 정도로 배정되며, 실무 능력이 중요합니다.

    필기와 실기 모두 100점 만점에 60점 이상을 받아야 합격합니다. 실기 시험은 전문 교육기관을 통해 준비하는 것이 효율적이며, 필기시험은 독학으로도 충분히 준비할 수 있습니다.
  4. 합격률
    필기시험의 난이도가 높지 않아서인지 합격률은 매우 높습니다. 예를 들어, 2020년에는 75.7%, 2019년에는 73.1%, 2018년에는 71.2%의 합격률을 기록했습니다. 반면, 실기시험의 합격률은 상대적으로 낮습니다. 2020년에는 40.2%, 2019년에는 37.2%, 2018년에는 35.2%였으며, 2022년 기준으로 필기는 83.7%, 실기는 43%를 기록했습니다.

기중기운전기능사 시험일정 보기
사진을 누르면 시험일정 홈페이지로 이동합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