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주요 업무 및 진출분야
수산물품질관리사들은 산지 생산자 조직에 소속되어 수산물의 품질 관리, 상품 개발, 브랜드 개발, 물류 효율화 등을 조정하고 관리하는 전문가입니다. 주요 업무는 크게 다섯 가지로 구분됩니다.
첫 번째는 수산물의 등급판정과 생산 및 수확 후 품질관리 기술 지도입니다. 두 번째는 수산물의 출하시기 조절입니다. 세 번째는 품질관리 기술에 관한 조언입니다. 네 번째는 포장 및 브랜드 개발, 상품성 향상 지도입니다. 마지막으로는 규격 출하지도도 수행합니다.
진출 분야는 이러한 업무를 수행하는 곳으로, 주로 수산물 관련 기업입니다. 가공회사나 유통회사, 연구기관 등에 취업할 수 있으며, 생산자 단체나 조합, 품질관리원, 개발업체 등으로도 진출할 수 있습니다.
시험절차
수산물품질관리사 자격증을 취득하기 위해서는 시험을 봐야 합니다. 응시 자격은 별도로 없으며, 학력이나 성별, 경력, 나이 등의 제한이 없습니다.
시험은 1차와 2차로 구분됩니다. 1차는 객관식 필기시험이고, 2차는 단답형과 서술형 필기시험입니다.
1차 시험 과목은 총 4개입니다: [수산물품질관리 관련법령], [수산물유통론], [수확 후 품질관리론], [수산일반]입니다. 각 과목당 25문항씩 총 100문항입니다.
2차 시험에서는 [품질관리 실무]와 [등급판정 실무]에 대한 내용을 단답형(20문항)과 서술형(10문항)으로 평가합니다.
합격을 위해서는 100점 만점에 60점 이상을 득점해야 합니다. 1차 시험의 경우, 각 과목당 40점 이상을 득점하고 총 평균이 60점이 넘어야 합니다.
시험일정
해당 시험은 1년에 한 번 실시됩니다. 1차와 2차 각각 한 번씩 있으며, 두 시험 사이에는 약 4개월 정도의 기간이 있습니다.
합격률
수산물품질관리사는 비전공자들도 응시할 수 있는 시험입니다. 2022년 기준으로 1차 시험 합격률은 51.68%, 2차 시험 합격률은 27.46%를 기록했습니다. 1차와 2차 시험의 합격률 차이가 크며, 매년 합격률의 변동도 큰 편입니다. 참고로, 응시 인원이 많지 않습니다.
이상으로 수산물품질관리사에 대한 정보였습니다!
'교육' 카테고리의 다른 글
9급 토목직 공무원, 경쟁률 낮고 가산점 높이는 비법까지! 건축직과의 차이점은? (0) | 2024.09.08 |
---|---|
기계정비기능사 자격증: 실기 합격률 90% 비결과 취업 전망 (0) | 2024.08.19 |
정보기기운용기능사 자격증: 취업과 합격률까지 완벽 가이드 (0) | 2024.07.03 |
농기계운전기능사 자격증: 누구나 도전할 수 있는 성공의 길 (0) | 2024.06.11 |
스포츠 지도자의 세계: 2급 생활스포츠지도사 자격 취득 가이드 (0) | 2024.05.2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