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반응형

해당 자격증의 가장 하위 등급은 기능사입니다. 기계 관련 전공을 이수한 실업계 고등학교 졸업자나 산업인력공단에서 관련 훈련 과정을 수료한 분들은 자격증 취득이 상대적으로 수월하다고 합니다. 하지만, 별도의 교육을 받지 않은 경우에도 자격증 취득이 불가능하지 않으며, 학력 및 경력 제한이 없어 누구나 도전할 수 있습니다.

기계정비기능사 시험일정
사진을 누르면 시험일정 홈페이지로 이동합니다

시험 절차: 필기시험

먼저, 기계정비기능사 자격증의 시험 절차를 살펴보겠습니다. 시험은 필기와 실기로 나누어집니다. 필기시험은 총 3개의 과목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1. 기계정비일반
  2. 공유압일반
  3. 산업안전

이 세 과목이 혼합된 객관식 문제로, 총 60문항이 출제되며 시험 시간은 60분이 주어집니다. 필기시험의 합격 기준은 100점 만점 중 60점 이상입니다.

시험 절차: 실기시험

다음으로 실기시험은 기계정비작업에 대한 작업형 평가로 진행됩니다. 실기시험은 약 3시간 30분 동안 진행되며, 합격 기준은 역시 100점 만점에 60점 이상입니다. 실기시험에서는 공유압 작업, 전기전자측정, 운활 장치 배관, 기계요소 스케치, 용접 및 조립작업 등의 능력을 평가합니다. 실기시험은 작업형으로 진행되기 때문에, 필기시험보다 독학으로 준비하기 어려울 수 있습니다.

필기시험 기출문제

  • 유량제어밸브의 사용으로 얻어지는 실린더 운동 속도제어의 장점은 무엇인가?
  • 작업자 개개인의 자기설비를 지키기 위한 점검, 급유, 부품교환, 수리 등을 목적으로 하는 보전용어는?
  • 부하시간 200시간/월, 정미가동시간 160시간/월일 때 설비가동율은 얼마인가?
  • 크레인 신호 시 유의사항으로 맞지 않는 것은?
  • 종합적 생산보전(total productive maintenance)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적당한 것은?

이와 같은 문제들이 출제되며, 기계 및 산업안전 관련 기본적인 이해를 평가합니다.

합격률

최근 3년간의 기계정비기능사 자격증 시험 합격률을 보면, 필기시험의 합격률보다 실기시험의 합격률이 훨씬 높습니다. 2022년 필기 합격률은 34.8%, 2021년은 40%, 2020년은 35.5%로 30% 초중반을 유지하고 있습니다. 반면, 실기시험 합격률은 2020년에 90.9%, 2021년에 91.5%, 2022년에 81.8%로, 실기 합격률이 상당히 높은 편입니다.

주요업무 및 진출분야

기계정비기능사 자격증 취득 후에는 다양한 분야에서 일할 수 있습니다. 기계 제작업체나 수리업체, 대규모 생산설비를 운영하는 공장, 금속소재 업체 등에 취업이 가능하며, 현장에서 도면과 지시에 따라 설비 및 기계의 예방 정비와 사후 정비를 수행하게 됩니다. 또한, 생산성 향상을 위해 용접, 수가공, 기타 현장작업을 담당하게 됩니다. 쉽게 말해, 각종 기계를 분해하고 조립하는 업무와 산업기계 관련 부속설비의 보수 작업을 주로 하게 됩니다.

마지막으로, 필기시험에 합격하면 2년 동안 필기 면제 혜택이 주어지므로, 이 기간 내에 실기시험에 합격하면 자격증을 취득할 수 있습니다.

반응형